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티볼리 점화플러그 교체주기와 비용 총정리 – 이리듐/루테늄 플러그의 모든 것

by 에너지박스 2025. 9. 21.
반응형

티볼리 점화플러그

 

도심 주행이 잦거나 연식이 오래된 티볼리를 운행 중이라면, 점화플러그 상태는 꼭 확인해봐야 할 핵심 부품 중 하나입니다. 티볼리 차량에 적용되는 점화플러그는 일반 니켈 합금이 아닌 고급형 이리듐 또는 루테늄 타입으로 구성되어 있어, 관리 여부에 따라 연비, 출력, 시동성능에 큰 차이를 보입니다. 특히 1.6 가솔린 엔진을 탑재한 모델(2015~2019년형 등)은 정해진 주기를 초과할 경우 시동 불량이나 출력 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, 교체 시기와 교체 비용, 점검 포인트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 글에서는 티볼리 점화플러그의 규격, 교체 시기, 비용, 주의사항까지 모두 정리해 드립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
티볼리에 사용되는 점화플러그 규격

  • 적용 차종: 쌍용 티볼리 1.6 가솔린 (2015~2019년형 등)
  • 플러그 타입: 고급형 이리듐 또는 루테늄
  • 소켓 크기: 16mm 플러그 소켓 필요
  • 수량: 4개 (4기통 엔진 기준)
  • 대표 순정 부품번호:
    • 쌍용 순정: 1721590009
    • 보쉬 호환: YR7SII33U (0242135548)

제조사 권장 교체주기 vs 실사용 기준

구분주행거리 기준기간 기준
제조사 권장 교체주기 120,000km 60개월
실사용 권장 40,000~60,000km 도심·가혹 조건일 경우 더 짧게
  • 고급 이리듐/루테늄 플러그는 최대 16만km까지 사용 가능하나, 실제 주행환경에서는 10~12만km 이내 교체가 안전합니다.
  • 연비 저하, 출력 감소, 엔진 소음 증가, 시동 불량 등 증상이 나타날 경우 조기 점검 필요.


점화플러그 교체 시 주의사항

  1. 엔진 충분히 식힌 후 작업 – 뜨거운 상태에서 작업하면 나사산 손상 우려 있음
  2. 토크렌치 필수 사용 – 21~25Nm 범위에서 규정 토크 준수
  3. 작업 전 실린더 주변 청소 – 이물질 유입 시 엔진 손상 가능
  4. 정품 사용 권장 – 저가 비품 사용 시 출력 저하 및 고장 위험
  5. 점화코일 및 케이블 동시 점검 – 노후화된 경우 효율적 교체 권장

이런 증상이 있다면 교체 시그널입니다

  • 시동이 한 번에 걸리지 않음
  • 아이들링(공회전) 시 RPM 불안정
  • 가속할 때 반응이 둔하거나 출력이 저하됨
  • 연비가 평소보다 갑자기 떨어짐
  • 엔진 소음이 평소보다 커짐

이러한 증상이 반복된다면 플러그 또는 점화코일 이상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.

 


마무리 정리

티볼리에 적용되는 점화플러그는 이리듐 또는 루테늄 재질의 고급형 플러그로, 정품 기준 12만km 또는 60개월 주기로 교체가 권장되며, 실제 주행 환경에서는 4~6만km 마다 점검이 필요합니다. 교체 비용은 평균 7~15만 원 수준이며, 점화코일까지 교체할 경우 최대 20만원까지 예산을 잡는 것이 좋습니다.
정품 부품 사용, 엔진 냉각 상태 확인, 토크렌치 사용은 반드시 지켜야 할 필수 조건이며, 점검을 소홀히 하면 연비 저하, 출력 손실, 심한 경우 시동 불량까지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확인이 필요합니다.


✅ 요약

  • 부품번호: 쌍용 1721590009 / 보쉬 YR7SII33U
  • 타입: 이리듐 or 루테늄 (16mm 소켓 사용)
  • 수명: 12만km 권장 / 실사용 4~6만km 점검
  • 비용: 7~15만 원 (점화코일 포함시 최대 20만 원)
  • 주의사항: 정품 사용, 토크렌치 필수, 엔진 냉각 후 작업
 

공임나라 블랙박스 교체비용 총정리

공임나라 블랙박스 교체비용을 차량 종류별로 정확히 정리했습니다. 1채널·2채널 공임부터 추가비용 항목까지 한눈에 확인하세요. 교체 전 필수정보 총정리!

www.logiquee.com

 

반응형